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테크/재테크 정보20

해외주식 수수료 우대 계좌 과연 얼마나 효과있을까? 증권사에서 해외주식 수수료 우대, 환전수수료 우대 이벤트를 많이 한다. 그럼 그게 실제로 얼마나 효과가 있는걸까? 알아보자. 1. 수수료 우대 계좌 (증권사에서 신규고객, 휴면고객 대상으로 하는 수수료 이벤트 계좌) 거래 수수료 0.07% / 환전수수료 95% 우대 2. 협의수수료 계좌 (예탁금이 일정수준(1억 가량)되고나서 유선으로 협의 요청하면 제공해주는 수수료 혜택 계좌, 예탁금이 많을수록 수수료를 더 많이 감면해준다.) 거래 수수료 0.12% / 환전수수료 달러당 1.5원 3. 일반 계좌 (아무 혜택을 받지 않는 일반 계좌) 거래 수수료 0.25% / 환전수수료 우대 없음 천만원어치 해외주식 매매할때, 현재 환율 1,330원으로 계산해보면 환전할 때 천만원 -> 7,518달러 1. 수수료 우대 계.. 2023. 5. 21.
지수추종 투자 시 절세계좌를 최대한 이용하는 방법 1. 연금저축펀드 600만원 + IRP 300만원 - 연금계좌 세액공제 최대한도 채우기 // 연금 개시 전까지 묶이는 돈이므로 돈이 묶이기 싫다면 세액공제 안받으면 됌 그렇게되면 연금저축계좌의 과세이연 효과만 가져감 총 900만원 2. 해외주식 계좌 4~5천만원 채우기 (일회성) 연 250만원 비과세 혜택 / 연평균수익률 6~7% 가정 1년 수익 250만원 3. 중개형ISA 납입한도 2천만원 채우기 총 2,900만원 4. 연금저축 추가납입 900만원 총 3,800만원 5. 3년짜리 중개형ISA가 만기됐을 때 중개형ISA 납입액 총 6천만원을 연금저축펀드로 이전, 만기 후 새로 만든 중개형ISA 계좌에 개설연도에 넣을 2천만원 = 3년에 걸쳐 모아야 할 돈 = 2000/3 = 1년 666만원 만기전까지의 .. 2023. 5. 21.
국내상장 해외주식ETF 투자와 해외직투 비교하기 S&P500 지수추종을 할 때 국내상장 해외ETF와 해외직투 중에 어떤게 더 좋을까?국내상장 ETF는 ACE 미국S&P500, 해외직투는 VOO에 투자한다고 가정하고 계산해봤다.먼저 국내상장 해외ETF의 경우 총 보수를 운용사 홈페이지에서 제대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했다. 위와 관련된 정보는 아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cosaf.tistory.com/93 국내상장 해외ETF 수수료 비교 제대로 하는 방법국내상장 해외ETF들의 진짜 수수료는 얼마일까? 흔히들 많이 투자하는 KODEX S&P500TR의 수수료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0.05% 라고 나온다. 이게 흔히들 알고있는 ETF 운용 보수다 이걸가지고 VOO 같cosaf... 2023. 5. 20.
통화승수에 대해 쉽게 알아보자 어떤 사람들은 은행이 하는 일은 예금 받은 돈으로 기업한테 빌려주고 이자 받아서 돈 벌고 그 이자 중 일부를 예금한 사람한테 떼주는게 전부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은행은 시장에 큰 기여를 하게 된다. 그것은 바로 "통화 승수" 다. 만약 은행에 예치된 돈이 1000억이라고 가정해보자 하지만 은행이 망한다는 소문이 돌지 않는 이상 갑자기 1000억원을 전부 다시 예금자한테 돌려줘야하는 경우는 생기지 않는다. 그래서 100억만 남기고 나머지 900억을 다른 사람에게 대출해준다. 이것을 지급준비율이라 하는데, 1000억 중에 100억을 남기고 모두 다른 곳에 사용하니 지급준비율이 10%가 된다. 이때 원래 있던 돈은 1000억이지만 예금된 돈 1000억 + 대출해준 돈 900억으로.. 2020. 7. 18.
815머니톡) 화폐와 버블경제의 끝은 어떻게 될까? 815머니톡에 현재 인플레이션, 시장 과열에 대한 좋은 동영상이 있어서 요약 정리 합니다. 32분까지만 요약하였습니다. 과거와 현재 비교 2008년 리먼사태 이전 본원통화는 8500억달러 수준이었다. 리먼사태의 대응으로 3차례에 걸친 양적완화로 풀린 돈이 3조 5천억 달러이다. 이 때 풀린 달러는 메인스트리트에 풀린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산 가격에만 영향을 주고 소비자물가에는 영향이 없었다. 코로나 이후 풀린 돈이 양적완화 2조 9천억, 재정정책 2조 2천억 달러, 기업대출 4조 달러 -> 약 7~8조의 달러가 풀렸다. -> 광의의통화(M2)가 지난 3개월 간 급증하고 저축률이 급감함 우려되는 상황 1. 광의의통화의 급증으로 인한 인플래이션 발생 우려 2. 재정정책으로 인해 메인스트리트에 돈이 풀리면 인.. 2020. 7. 18.
금 가격 지금이 고점인가? 에 대한 공부 최근 "황금대학살" 이라는 키워드를 접했다 내 포트폴리오에도 금 현물 비중이 꽤 되기 때문에 금 가격이 지금 적절한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5% 하락 후 재상승 2. 2011년 9월, 1차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단기 금리를 높이고 장기 금리를 낮추는 것) -> 5% 하락 3. 2011년 9월, 선물시장 증거금 금 21%로 인상 -> 10% 하락 4. 2012년 8월, 2차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5. 2013년 4월, 연준 금 대량 매도 (세계 채굴량의 45%) -> 폭락 (황금대학살) 4번까지 시도했음에도 금 가격 하락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5번에서 결정타를 날리면서 폭락했다. 이걸 황금 대학살이라고 부른다. 과거를 돌이켜 봤을 때 금 비중이 높은 사람들은 이제 미정부의 대응을 눈 여겨봐야겠다. .. 2020. 7.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