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테크/재테크 정보20 레버리지 ETF에 장기 투자하면 안되는 이유 지수추종이나 자산배분 등 비교적 안전한 투자 전략이 있다고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레버리지 ETF 등 변동성이 큰 상품에 유혹되기 마련입니다. 1년동안 안전한 상품에 투자해서 7% 수익을 얻었는데 옆 사람이 하루만에 15%를 번다면, 당연히 혹할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레버리지 상품이나 변동성이 큰 상품이 무조건적으로 투자하면 안되는 상품은 아닙니다. 다만 그 위험성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투자해야합니다. 레버리지 등 변동성이 큰 상품에 투자하면 안되는 이유는 다음 3가지가 있습니다. 1. 손익 비대칭성의 원리 주가가 하락하여 손실률을 보았다면 그 손실률을 복구하기 위해서 손실률보다 큰 수익률이 있어야한다는 원리입니다. 예를 들어 -1%, +1%, -2%, +2%, -3%, +3% 로 계속 횡보하는 상.. 2024. 10. 19. 연금저축펀드, 중개형ISA 추가 납입 순서에 대한 고찰 ※ 이 글은 연금저축펀드, 중개형ISA 계좌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숙지해야 이해할 수 있는 심화글입니다.이 글이 잘 이해되지 않을 경우 재테크 초보탈출 시리즈의 절세편을 먼저 읽어보시길 바랍니다.https://cosaf.tistory.com/100 재테크 기초부터 심화까지 4편 - 절세2,3편에 걸쳐 우리는 지출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제 우리는 투자에 대해 배워야 합니다. 하지만 어떤것에 투자할까보다 먼저 생각해야할 것은 뭘 통해 투자해야할까입니다 부침개cosaf.tistory.com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결론은 "연금 수령액에 따라 어느것에 먼저 투자할지 바뀐다"입니다.https://cosaf.tistory.com/90 지수추종 투자 시 절세계좌를 최대한 이용하는 방법1. 연금저축펀.. 2024. 10. 18. 청년도약계좌 가입에 대한 고민2 청년도약계좌 소득구간에 걸려서 아예 가입이 불가능해서 처음 나왔을 때 계산해봤다가 신경을 끄고 있었는데 오늘 갑자기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문자가 오더니 가입자격이 7,500만원까지 상향됐다고 합니다. 요즘 주식시장도 고점이고 안전자산 비중 늘려야되나 싶을 타이밍이었는데 마침 잘됐다 싶어서 청년도약계좌랑 지수추종 비교해봤습니다. 일단 이게 모든 은행 공통 적용되는 소득 별 정부기여금 자료입니다. 일단 제 소득 기준으로하면 4800만원 이하인거로 가정하고 월 21,000원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3년 간 기본금리 4.5%에 우대금리 최대 1.5% 입니다. 그 후 2년은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금리가 달라지는데 아무래도 앞으로의 5년은 금리가 인하될 확률이 매우 높고 그 폭도 클거라고 생각.. 2024. 3. 19. 청년도약계좌 가입에 대한 고민 일단 기존의 청년 금융정책은 모두 소득분위에 걸려서 신청조차 하지 못했던걸 감안하면 드디어 신청할 수 있는 정책이 나왔다는것이 매우 반갑습니다. 독립한 1인 가구 청년이라고 가정했을 때 월 소득 374만원 이하면 신청할 수 있어서 상당히 자비로운 기준인 듯 합니다. 일단 뉴스기사대로 청년도약계좌에 4,200만원을 납입하면 5천만원으로 만들어준다 가정하고 계산해보면 5년 수익률 19프로입니다. 본인이 투자해서 나오는 연평균수익률이 7%라고 가정하고 5년 계산하면 딱 5천만원 근사치로 나옵니다. (5,011만원) 이러한 수익률 계산은 엑셀의 FV 함수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계산식 =FV(7%/12,5*12,-700000,0) ※ 연평균수익률 7% / 12개월 , 5년 투자 * 12개월 , 월납입금 700.. 2023. 6. 13. 연금저축펀드 추가납입에 대한 생각 ※ 이글은 연금저축펀드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숙지해야 이해할 수 있는 심화글입니다.이 글이 잘 이해되지 않을 경우 본 블로그의 재테크 초보탈출 시리즈의 절세편이 있으니 먼저 읽어보시길 바랍니다.https://cosaf.tistory.com/100 재테크 기초부터 심화까지 4편 - 절세2,3편에 걸쳐 우리는 지출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제 우리는 투자에 대해 배워야 합니다. 하지만 어떤것에 투자할까보다 먼저 생각해야할 것은 뭘 통해 투자해야할까입니다 부침개cosaf.tistory.com 연금저축에 납입한 돈들은 정확히 어떤식으로 세금이 매겨지는가, 실효세율은 어느정도인가이것은 사실 이전부터 계속 알고있던건데, 막상 떠올릴려고하면 생각이 안나서 항상 다시 검색해보는 것이었다.그래서 아예 글.. 2023. 6. 9. 국내상장 해외ETF 수수료 비교 제대로 하는 방법 국내상장 해외ETF들의 진짜 수수료는 얼마일까? 흔히들 많이 투자하는 KODEX S&P500TR의 수수료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0.05% 라고 나온다. 이게 흔히들 알고있는 ETF 운용 보수다 이걸가지고 VOO 같은 해외직투 S&P500 ETF와 연 보수차이가 얼마 안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실상은 어떨까? 실제 국내상장 해외ETF의 연보수는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s://dis.kofia.or.kr/websquare/index.jsp?w2xPath=/wq/main/main.xml)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홈페이지에서 펀드별 보수비용비교 탭으로 들어가면 우리나라에서 운용되는 ETF들의 "진짜" 보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럼 필자가 투자하는 S&P500 ETF들의 보수를 비교해보자... 2023. 5. 23.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