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테크/재테크 정보20

평균 모멘텀 스코어 전략으로 미국장 예측하기 동적 자산배분 전략 중 한가지인 평균 모멘텀 스코어 전략은 자산군의 모멘텀을 계산해 추세를 따르는 전략이다. 지난 12개월의 가격과 비교해서 주가가 높은 상태일때가 많으면 주식 비중을 높이고 반대면 주식 비중을 낮추는 방식으로 시장의 추세를 간단하게 추종 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현재 주가(위 사진에선 12.04)가 지난 12개월과 비교해서 높은가 낮은가 체크하는 것이다. 12.04가 지난 12개월 주가보다 모두 높으므로 모멘텀은 12가 되고 이를 다시 12로 나눈 것이 주식 투자 비중이다. 1, 3, 6, 12개월의 모멘텀만 계산해서 그 합을 4로 나누는 방식도 있다. 이걸 이 글에선 "평균 모멘텀 스코어 주식" 이라고 부르겠다. 그리고 같은 방식으로 채권의 모멘텀도 구해서 주식의 비중을 구하는 방식도.. 2020. 7. 16.
변동성 역가중 전략으로 미국장 예측하기 동적 자산배분의 한가지인 변동성 역가중 전략은 주식:채권의 변동성에 역가중을 취해 투자 비중을 조절함으로써 변동성을 줄이는 전략이다. 이 전략을 살펴보다가 문득 든 생각이, 주식의 변동성이 크다는건 그것이 상승이든, 하락이든 강세장이란 것이고 그때 변동성 역가중 전략의 주식 비중은 낮춰질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변동성 역가중 전략의 주식 비중이 낮으면 다음달 주식장이 변동성이 심한 장일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이 아이디어를 검증하기 위해 백테스트를 진행해봤다. 일단 SPY와 QQQ의 4주 수익률을 구하고 이를 6개 구간으로 나누었다. -6% 이하 구간인 1부터, 8% 이상 구간인 6까지다. 이제 각 구간에서 변동성 역가중 전략의 주식 비중이 얼마나 될지 찾으면 된다. 이것이 그것을 요약한 표. 강세장인.. 2020.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