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테크71 815머니톡) 화폐와 버블경제의 끝은 어떻게 될까? 815머니톡에 현재 인플레이션, 시장 과열에 대한 좋은 동영상이 있어서 요약 정리 합니다. 32분까지만 요약하였습니다. 과거와 현재 비교 2008년 리먼사태 이전 본원통화는 8500억달러 수준이었다. 리먼사태의 대응으로 3차례에 걸친 양적완화로 풀린 돈이 3조 5천억 달러이다. 이 때 풀린 달러는 메인스트리트에 풀린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산 가격에만 영향을 주고 소비자물가에는 영향이 없었다. 코로나 이후 풀린 돈이 양적완화 2조 9천억, 재정정책 2조 2천억 달러, 기업대출 4조 달러 -> 약 7~8조의 달러가 풀렸다. -> 광의의통화(M2)가 지난 3개월 간 급증하고 저축률이 급감함 우려되는 상황 1. 광의의통화의 급증으로 인한 인플래이션 발생 우려 2. 재정정책으로 인해 메인스트리트에 돈이 풀리면 인.. 2020. 7. 18. 금 가격 지금이 고점인가? 에 대한 공부 최근 "황금대학살" 이라는 키워드를 접했다 내 포트폴리오에도 금 현물 비중이 꽤 되기 때문에 금 가격이 지금 적절한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5% 하락 후 재상승 2. 2011년 9월, 1차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단기 금리를 높이고 장기 금리를 낮추는 것) -> 5% 하락 3. 2011년 9월, 선물시장 증거금 금 21%로 인상 -> 10% 하락 4. 2012년 8월, 2차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5. 2013년 4월, 연준 금 대량 매도 (세계 채굴량의 45%) -> 폭락 (황금대학살) 4번까지 시도했음에도 금 가격 하락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5번에서 결정타를 날리면서 폭락했다. 이걸 황금 대학살이라고 부른다. 과거를 돌이켜 봤을 때 금 비중이 높은 사람들은 이제 미정부의 대응을 눈 여겨봐야겠다. .. 2020. 7. 16. 평균 모멘텀 스코어 전략으로 미국장 예측하기 동적 자산배분 전략 중 한가지인 평균 모멘텀 스코어 전략은 자산군의 모멘텀을 계산해 추세를 따르는 전략이다. 지난 12개월의 가격과 비교해서 주가가 높은 상태일때가 많으면 주식 비중을 높이고 반대면 주식 비중을 낮추는 방식으로 시장의 추세를 간단하게 추종 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현재 주가(위 사진에선 12.04)가 지난 12개월과 비교해서 높은가 낮은가 체크하는 것이다. 12.04가 지난 12개월 주가보다 모두 높으므로 모멘텀은 12가 되고 이를 다시 12로 나눈 것이 주식 투자 비중이다. 1, 3, 6, 12개월의 모멘텀만 계산해서 그 합을 4로 나누는 방식도 있다. 이걸 이 글에선 "평균 모멘텀 스코어 주식" 이라고 부르겠다. 그리고 같은 방식으로 채권의 모멘텀도 구해서 주식의 비중을 구하는 방식도.. 2020. 7. 16. 국내 ETF 포트폴리오 투자 시작 부모님이 갑자기 전화하셔서 500만원을 맡길테니 투자를 해달라고 하셨다.최근에 재테크 주제로 이야기를 많이해서 그러신 것 같다. 미국 ETF로 구성할까 하다가, 국내 ETF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주식 60%, 채권 32%, 리츠 4%, 금 4%로 구성했다.전통적 정적 자산배분 방법인 주식:채권 6:4 비율에서 조금 변형한 형태다. 부모님 돈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최대한 MDD를 낮추려고 단기채권과 금에도 비중을 뒀다. 사실 내 돈이었으면 위험을 조금 감수하더라도 단기채권도 안들어가고 중기채 비중도 줄이고 30년 국채 비중을 높였을 것이다. 국내주식인 KODEX 200TR을 빼고 다른 상품에 비중을 더 주면 연금저축펀드 국내 ETF 포트폴리오로도 훌륭하다. ※ 국내주식 ETF는 비과세인데, 연금저축펀드로.. 2020. 7. 14. 변동성 역가중 전략으로 미국장 예측하기 동적 자산배분의 한가지인 변동성 역가중 전략은 주식:채권의 변동성에 역가중을 취해 투자 비중을 조절함으로써 변동성을 줄이는 전략이다. 이 전략을 살펴보다가 문득 든 생각이, 주식의 변동성이 크다는건 그것이 상승이든, 하락이든 강세장이란 것이고 그때 변동성 역가중 전략의 주식 비중은 낮춰질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변동성 역가중 전략의 주식 비중이 낮으면 다음달 주식장이 변동성이 심한 장일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이 아이디어를 검증하기 위해 백테스트를 진행해봤다. 일단 SPY와 QQQ의 4주 수익률을 구하고 이를 6개 구간으로 나누었다. -6% 이하 구간인 1부터, 8% 이상 구간인 6까지다. 이제 각 구간에서 변동성 역가중 전략의 주식 비중이 얼마나 될지 찾으면 된다. 이것이 그것을 요약한 표. 강세장인.. 2020. 7. 14. 이전 1 ··· 9 10 11 12 다음 반응형